Kim Yeon-sin |
|
연구분야 및 실적 경력 2011- : 서강대학교 독일문화학과 전임교수 2008-2010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전임교수 2004-2010 : 서강대, 협성대 등 강의 학회활동 및 기타 2010.11.27 18세기 독서 중독증과 책 읽기의 문제. 괴테학회 겨울 학술대회 2010.08.05 Berlin - Hauptstadt, Metropole oder Global City XII. Kongress der IVG. Vielheit und Einheit der Germanistik weltweit.Warschau,Poland 2009.10.23 독일 재통일에 대한 페터 슈나이더의 문학적 성찰. 독어독문학 가을 연합학술대회 2009.07.28 Naturauffassung von Alexander von Humboldt in『Ansichten der Natur』Fifth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Alexander von Humboldt Conference『Travels between Europe and the Americas』Freie Universitat Berlin,Deutschland 2009.05.16 국민문학과 세계문학 사이에서. 헤르더의 문학관. 뷔히너 학회 춘계학술대회 2008.10.03 Reiseliteratur der Jahrhundertwende aus kulturgeschichtlicher Perspektive: Genthes Koreareise. 설악심포지움 2006.04.01 독일 낭만주의에서 이념과 메타퍼로서의 책. 독일언어문학회 2005.08.26 Eine Betrachtung ueber die Digitalliteratur. 11. Internationaler Germanistenkongress『Germanistik im Konflikt der Kulturen』Paris,Frankreich 2005.04.01 문학의 언어, 말과 형상의 회색지대. 독일언어문학회 2004 카프카의『성』에 나타난 매체의 질서. 카프카 학회 2004 18세기 책문화와 독일 전기낭만주의 시학. 독어독문학회 봄 학술대회 2011 카프카학회 국제이사, 독일어문학회 편집이사 2006 - 현재 : 한독문학 번역연구소 한독사전 편찬위원 2004 - 현재 : 독어독문학회, 독일어문학회, 괴테학회, 뷔히너학회, 독일언어문학회 회원 주요 논문 잉에보르크 바흐만의 문학관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사유의 발전과정. 독일어문학 23-1 (2015). 77-100 알렉산더 폰 훔볼트 여행기의 서술적 특징 II - 『자연에 관한 고찰』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39 (2014). 41-66 알렉산더 폰 훔볼트 여행기의 서술적 특징 I - 침보라보 등반기록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2 (2014). 79-102 현대로의 출발과 문학 속의 새로운 아들상 - 릴케, 헤세, 카프카의 탕자 모티브 수용과 재해석. 카프카 연구 30 (2013). 103-123 문화적 자기진술로서의 18세기 지식인 여행기 연구 - 헤르더와 레씽의 여행기를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57 (2012), 369-393 세계화와 문화의 정체성-H.Hesse, S. Zweig, Erika/Klaus Mann의 여행기에 드러난 문화관. 카프카 연구 27 (2012), 49-72 영화속의 테러리즘-2000년도 이후 적군파에 대한 역사적 기억의 변화. 독일어문학 20 (2012), 49-70 18세기의 독서 중독증과 책 읽기의 문제. 괴테연구 23 (2012), 75-93 세계문학의 공간과 18세기 독일문학의 지형도 - 파스칼 카사노바의 세계문학론에 근거하여. 독일어문학 49 (2010), 1-23 헤르더의 문학관: 국민문학과 세계문학 사이에서. 괴테연구 22 (2009), 121-139 역사의 장소-장소의 역사. 독일 재통일에 대한 Peter Schneider의 문학적 성찰. 독일어문학 47 (2009), 17-38 헤르더의 문학관: 국민문학과 세계문학 사이에서. 괴테연구 22 (2009), 121-139 역사의 장소-장소의 역사. 독일 재통일에 대한 Peter Schneider의 문학적 성찰. 독일어문학 47 (2009), 17-38 편지와 편지의 위기에 대한 매체사적 고찰. 18세기 편지문화와 편지문학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44 (2009), 125-142 Non-Lineare Narrative. Medienasthetik der Romantik. 독일문학 106 (2008) Zur Krise der Digitalliteratur, in: Akten des XI. Internationalen Germanistenkongresses Paris 2005 “Germanistik im Konflikt der Kulturen”, Hrsg. Von Jean-Marie Valentin, Bd. 4: Sprache und neue Medien, Bern u.a. (2007) 375-381 패러다임 책 II. 낭만주의 문학에 나타난 책의 메타퍼 연구. 독일어 문학 38 (2007), 169-190 패러다임 책 I. 낭만주의 책의 이념적 모델들. 독일어 문학 37 (2007), 1-20 문학의 언어. 말과 형상의 공존지대. 독일 언어문학 32 (2006), 79-100 Der Tempel zu Sais: Die kulturelle Erinnerungsarbeit bei Schiller und Novalis, 서강인문논총 19(2005), 39-60 권력의 매체. 매체의 권력. 카프카의 성을 중심으로. 독일어 문학 28 (2005), 43-66 18세기 책문화와 전기낭만주의 문학관. 독일어문학 25 (2004), 55-76 저서 Peter Schneider: Eduards Heimkehr / 페터 슈나이더 저: 에두아르트의 귀향. 대산 세계문학총서 98. 문학과 지성사 2010 Peter Schneider: Der Mauerspringer / 페터 슈나이더 저: 장벽을 뛰어넘는 사람. 대산세계문학총서 97. 문학과 지성사 2010 Als die Lumpen Flugel bekamen. Fruhromantik im Zeitalter des Buchdrucks: Konigshausen & Neumann, Wuerzburg 2004 |